정보

월세 전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표 및 계산법

우주정보 2023. 2. 20. 18:28
반응형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

월세 전세 등 부동산 중개수수료때문에 고민 많으시죠?

이 글로 한번에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천천히 끝까지 모두 읽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월세 전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이사를 준비중이신가요? 원룸을 구하시나요? 보통 부동산을 통해 집을 구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일겁니다. 흔히 부동산을 끼고 구한다라고 이야기 할텐데 부동산을 통해 진행하면 중개수수료를 내야합니다. 그렇다면 중개수수료는 얼마나 들까요??

급하신 분들은 위 계산기 바로 확인 하셔도 되지만 중개수수료가 측정되는 과정을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조금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세 중개수수료 얼마?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표

부동산 중개수수료 금액은 법적으로 액수별로 정해져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아래 내용들을 확인해서 구하시기 전에 미리 계산을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분류 거래금액 수수료율 한도액
주택 5천만원 미만 0.5% 20만원
5천 이상~1억 미만 0.4% 30만원
1억 이상~3억 미만 0.3% 없음
3억 이상 6억 미만 0.4% 없음
6억 이상 0.8% 이하로 협의 없음
오피스텔(85㎡이하)   0.4%  
상가,토지   0.9% 이하로 협의  
전세 거래금액 =전세금
월세 거래금액(5천만원 이상) = 보증금 +(월세x100)
월세 거래금액(5천만원 미만) = 보증금 +(월세x70)

요즘은 법적으로 정해진 액수와 다르게 받으면 차액의 100%를 화불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중개사분들이 정확하게 계산하여 진행을 도와주실겁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요율표 한번이라도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월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먼저 월세 중개수수료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거래금액에 대해서 수수료율을 곱하면 됩니다.

월세는 전세와 조금 다르게 거래금액을 계산합니다. 거래금액 = 보증금 +(월세x100)으로 하면 됩니다.

이때 거래 금액이 5000만원 미만으로 나올 경우 거래금액을 아래 공식으로 다시 할인해서 산출해주시면 됩니다.

거래금액 + 보증금 + (월세x70)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예시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보증금이 2000만원이고 보증금이 50만원이라면 어떻게 계산을 해야할까요? 다음과 같습니다. 

보증금 월세 거래금액 수수료율 중개수수료
2000만원 50만원 7000만원 0.4% 280,000원

이해가 되시나요? 거래 금액이 5000만원 이상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계산이 나옵니다.

보증금 2000만원+(월세50만원 x 100) = 7000만원입니다.

 

그렇다면 5000만원 미만인 경우 예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보증금이 1000만원이고 월세 30만원이면 어떻게 계산이 될까요??

보증금 월세 거래금액 수수료율 중개수수료
1000만원 30만원 3100만원 0.5% 155,000원

이제는 이해가 조금 되시죠??

보증금1000만원 + (월세30만원 X 100)을 하면 거래 금액이 4000만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할인 공식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보증금 1000만원 + (월세 30만원 x70)으로 계산을 하면 되고 거래금액은 3100만원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수수료율0.5%를 곱해주면 중개수수료가 155,000원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전세 중개수수료 계산서법

월세 중개 수수료 계산시 유의점

유의 할점이 있습니다. 바로 근린생활시설 등의 유의해주셔야합니다. 왜냐하면 근린생활시설은 수수료율이 0.9%이기 때문입니다. 

 

위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30만원인 경우는 0.4%로 수수료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155,000원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집의 종류가 근린생활시설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예로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가 30만원짜리 방이 있습니다. 위 방법으로 계산을 한다면 거래 금액이 2200만원으로 총 거래 금액이 900만원인데 수수료가 0.9%가 적용되어 198,000원이 나와 오히려 비쌀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표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건유형 주택 근린생활시설
보증금 1000만원 100만원
월세 30만원 30만원
거래금액 3100만원 2200만원
수수료율 0.5% 0.9%
중개수수료 155,000원 198,000원

표로 보니 이해가 더 쉽죠?

무조건 싸다가 좋은게 아닙니다. 근린생활시설은 주택처럼 보여도 주차권리가 없거나 입주자 수에 비해서 주차대수가 부족하고, 전기세 등이 조금더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신 보증금과 월세가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근린생활시설은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불법이지만, 건물을 지을 당시 건축비를 아끼고, 투자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이렇게 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다음으로 전세중개수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계산은 월세보다 간단합니다. 

거래금액(전세금)x수수료율 입니다.

그럼 바로 예시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 주택 5000만원의 중개수수료는 얼마일까요?

전세금 수수료율 중개수수료
5000만원 0.4% 200,000원

전세가 5000만원이라면 수수료율은 0.4%입니다. 두개를 곱하면 20만원의 중개수수료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중개수수료 한도액입니다. 만약 9000만원 전세라고 가정을 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9000만원 곱하기 0.4%하면 36만원의 수수료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1억 미만 거래의 경우 수수료 한도액이 30만원이기 때문에 30만원만 지불하시면 됩니다.(글 위쪽 요율포 참고)

 

전세금 수수료율 중개수수료 한도액
9000만원 0.4% 360,000원 300,000원

복잡해 보여도 천천히 글을 읽어 보시고 직접 계산해보시면 금방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